AR Foundation 항목을 만들었습니다.
Unity/AR Foundation 2020. 1. 3. 18:36어쩌다보니 이걸 쓰고 있는데
정리를 하면서 안 하면 머리가 복잡해져서 정리를 해볼까 하고 만들었는데
얼마나 업데이트 될지는 모르겠네요..
AR Foundation 항목을 만들었습니다.Unity/AR Foundation 2020. 1. 3. 18:36어쩌다보니 이걸 쓰고 있는데
정리를 하면서 안 하면 머리가 복잡해져서 정리를 해볼까 하고 만들었는데
얼마나 업데이트 될지는 모르겠네요.. 애니메이션 인덱스로 호출해보기 - 정리중Unity 2016. 1. 7. 18:081. 일단 상황 1-1. 아직 그래픽 작업이 안되어있어서 에셋스토어에서 무료 모델을 몇 개 가져와서 뿌렸음 1-2. 여러개 로드도 다 하고 크기도 맞추고 기본 설정을 다 했는데, 애니메이션 이름이 다름 예) 1번 캐릭터 Wait, Walk, Attack 2번 캐릭터 idle, run, attack 1-3. 이게 지금 한두개면 괜찮은데 그래픽 작업이 안 된상황에서 나중에 또 몇 개 더 가져다가 종류가 늘어나면 하나하나 다 바꾸기도 뭐해서 Inspector 의 Animation탭을 보니 Element Number로 나누어져 있길래 그걸 사용해서 바꿀 수 있지 않을까 싶음 1-4. enum 선언 번호랑 해서 맞춰서 뿌려주면 될거 같음. 이거다 싶어 방법을 찾기위해 검색시작 2. 진행 2-1. 찾아보니 같은 고민을 하는 분들이 좀 있었음 2-2. 일단 오브젝트 안에 애니메이션이 몇 개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선언한오브젝트이름.GetComponent<Animation>().GetClipCount(); 2-3. 오브젝트 안에 애니메이션 이름들을 볼 수 있는 방법 int idx = 0; foreach (AnimationState anim in 선언한오브젝트이름.GetComponent<Animation>()) { Debug.Log("Animation (" + idx + ") name : " + anim.name); idx++; } 2-4. 2-3번 방법으로 오 해결되었네..... 필요한 index 보내줘서 그 이름 받아다가 리턴해주면 되쟎아 쉽네 ㅎㅎ 했음 2-5. 지금은 테스트라 2~3개정도 뿌리고 있는데 나중에 얼마나 많이 뿌릴지 잘 모르겠어서 리스트로 관리하고 있었음 2-6. 근데 2-3 방법으로 함수 만들어서(일단은 같은 클래스 안에서) 실행시켜보니 애니메이션이 다르게 나옴 2-7. 멘붕??? 2-8. 그래서 일단 무식하게 로그를 다 찍어보기로 했음 2-9. Start()에서 처음 오브젝트 로드부분 -> 리스트에 ADD를 한 부분까지는 프리팹의 애니메이션 순서와 똑같이 나옴 2-10. Update()에서 애니메이션이 변경되는 부분에서 로그를 찍어보니 순서가 바뀌어있음????? 2-11. 멘붕 <- 현재 여기입니다. PS. 난 이렇게 하는 방식만 있는줄 알았는데 애니메이션 다르게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고 누가 지나가면서;;;;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캐스트로 마우스클릭 받아오기 메모Unity 2015. 12. 22. 17:56마우스 버튼이 눌리면 ray와 Raycast를 사용하여 하는 방법이 보통 공부할 때에 많이 쓰인다고 검색하면 많이 나옴 내가 해야할 것은 오브젝트가 겹쳐있고 두 오브젝트를 따로 인식해야 하는 상황인데 이거에 대해 잘 못 하겠어서 검색을 했는데 1. 레이어를 구별해줌 (이건 뭐 기본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미 되어있었음) 2. Raycast() 함수의 인자에 세번째에 레이어를 넣어줄 수 있음 여기까지 찾아서 입력 해 보았지만 그래도 위에 있는 오브젝트만 인식하길래 뭐가 잘못인지 잘 모르겠음 3. Raycast() 함수에 빛을 쏠 수 있는 거리지정이 가능해서 거리를 모든 오브젝트가 덮일정도로 적어주고 실행 (무한을 많이 적던데 왠지 좋지 않을거 같아서 일단 대충 제일 아래칸까지 다 덮이게 수치를 직접 적어넣음) Raycast(ray, out hit, 거리, 레이어비트) <- 이런식으로 두 개 다 인식이 되었음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팀의 도전과제 작업Steam SDK 2015. 6. 22. 16:48스팀 SDK의 도움말 문서가 있긴 하지만 이 도움말 문서도 꽤 부실하게 기본 예제인 Spacewar 소스코드만 가지고 설명을 하고 그게 끝이다. 그래서 작업 하면서 기본적으로 그 소스코드를 그대로 가져오거나 혹은 약간의 변형 (이쪽 소스의 클래스에 맞게끔 변형) 작업을 해서 올리는데 다른거야 그렇다 치고 (애초에 소스작업으로 할게 별로 없었긴 했음) Steam 도전과제 작업을 하다가 코드나 콜백 코드는 잘 들어갔는데 실제 동작할 때에 다른 게임들과 다른 모습이 등장 기본적으로는 게임 소스코드에서 도전과제 조건을 만족시키면 도전과제용 콜백을 호출시키고 게임 관리자 사이트에 미리등록해둔 도전과제의 ID를 콜백호출시켜 스팀 도전과제를 완료하였다는 메시지를 스팀 오버레이상에 띄우는데 (기본은 화면 우하단에 뜸) 지금 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는 어떻게 해도 실시간으로 안 올라옴.... 게임 페이지에 가 보면 도전과제가 풀려있는건 확인이 되는데 우하단에 메시지가 안 올라옴;;; 여러가지 방법을 써보고 최종적으로는 spacewar에 있는 소스 거의 그대로 붙여넣기를 했는데도 안 올라오는데... 도데체 이유를 모르겠음;; 'Steam SD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번에 스팀 관련 작업한 것 기록남기기Steam SDK 2015. 6. 11. 11:24이번 프로젝트에서 스팀으로 작업한 것들 스팀용 DRM 랩핑 + 스팀 서버에 빌드업 기본 스팀 콜백 연동 세이브 데이터의 스팀 클라우드 연동 스팀 도전과제 작업 을 하였음 'Steam SDK'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