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을 보면 Files폴더와 PALibAppWizard텍스트 파일과 VC8익스프레스와 그냥 셋업이 있습니다.
비주얼 스튜디오 2005 익스프레스 버전을 쓰시는 분들은 익스프레스 셋업 파일을 더블클릭 해서 실행해 주시면되고.. (단 스크립트파일이 실행 가능하여야 한 상태여야 합니다. XP에서 비주얼 스튜디오가 깔려있다면 실행이 되는 것 같더군요. 98, 95에서는 확인을 안 해보았고 비스타의 경우 다른 설치방법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면 이제 닷넷 2005에 새 프로젝트 열기에 추가가 되어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희들은 2008에 설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저 셋업 스크립트를 변경시켜줘야 합니다.
변경 방법은 설치할 스크립트.js 파일을 (메모장이나 에디트플러스 같은걸로) 열어서
8.0이라고 되어있는 곳을 9.0으로 VC8이라고 되어있는 곳을 VC9로 바꾸어 주고 저장하면 됩니다.
또 Files 폴더에 들어가보면... PALibAppWizard.vsz 라는 파일이 있는데..
이거 역시 에디트플러스나 메모장으로 열어서
Wizard=VsWizard.VsWizardEngine.8.0 이 부분을
Wizard=VsWizard.VsWizardEngine.9.0으로 수정시켜주신 후에..
스크립트를 실행을 시켜 주시면 2008에서도 새 프로젝트에 추가가 되어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기본 프로그램을 생성해서 컴파일을 해 보시면 에러가 날텐데...
그 이유는.. 저 스크립트에 기본 저장되어있는 폴더가 devkitpro의 기본 설치폴더랑 약간 달라서 그런것인데
devkitpro가 설치되어있는 폴더의 \PAlib\lib\ 안에 있는 arm7폴더와 arm9폴더를
msys폴더 안의 lib폴더 안으로 복사를 해 주시면 컴파일이 될 것입니다.
아직 저도 튜토리얼 정도 실행하는 단계라 나중에 컴파일이 안 되는 현상이 발생할 지도 모르는데
그 때가 되면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설치방법의 참고사이트는 제 블로그 왼쪽의 외부링크에 있습니다.
PS. 추가내용으로.... 최신 버전의 DevkitARM에서는 컴파일이 제대로 안 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